"분명 며칠 전 월급날이었는데... 내 돈 다 어디 갔지?"
월급날의 기쁨도 잠시, 카드값을 내고 나면 텅 비어버린 통장을 보며 한숨 쉬어본 경험, 다들 있으시죠? 우리는 돈을 벌고 있지만, 정작 그 돈이 어디로 어떻게 흘러나가는지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마치 눈을 가리고 운전하는 것과 같아요.
재테크의 첫걸음은 '더 많이 버는 것'도, '무작정 아끼는 것'도 아닙니다. 바로 내 돈의 행방을 정확히 추적하고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이라는 두 가지 이름표를 붙여주는 것에서 시작합니다. 오늘은 여러분의 돈에 '주소'를 찾아주는 시간을 갖겠습니다.

왜 지출에 '이름표'를 붙여야 할까?
우리가 지출을 '고정지출'과 '변동지출'로 나누는 이유는 간단합니다. '통제할 수 있는 것'과 '통제하기 어려운 것'을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.
- 고정지출: 매달 숨만 쉬어도 나가는 돈. 줄이기는 어렵지만, 예측이 가능합니다.
- 변동지출: 나의 의지와 습관에 따라 고무줄처럼 늘어났다 줄어드는 돈. 우리가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'통제'해야 할 대상입니다.
이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으면, 우리는 월세처럼 줄일 수 없는 지출 앞에서 좌절하고, 정작 줄여야 할 커피값이나 쇼핑 비용은 외면하게 됩니다. 목표를 명확히 해야 현명한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.

내 지출에 이름표 붙여주기: 고정 vs 변동
자, 그럼 지금부터 지난 한 달간의 카드 명세서나 계좌 이체 내역을 펼쳐놓고 함께 분류해봅시다.
1. 고정지출 (Fixed Expenses) - 생존과 약속의 비용
이 항목들은 대부분 생존에 필수적이거나, 계약에 의해 정해진 비용입니다.
- 주거비: 월세, 전세대출 이자, 관리비
- 통신비: 휴대폰 요금, 인터넷 요금
- 보험료: 실비보험, 저축성보험 등 매달 내는 모든 보험료
- 교통비: 출퇴근을 위한 대중교통비 또는 주유비
- 구독료: 넷플릭스, 유튜브 프리미엄, 멜론 등 정기 결제 서비스
- 기타: 정기 후원금, 부모님 용돈 등
2. 변동지출 (Variable Expenses) - 나의 습관과 선택의 비용
이 항목들은 나의 생활 패턴과 선택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. 재테크의 성패는 이 변동지출을 얼마나 잘 관리하느냐에 달려있습니다.
- 식비: 점심/저녁 식사, 배달 음식, 카페, 장보기 비용
- 쇼핑/의류비: 옷, 신발, 화장품 구매 비용
- 문화/여가비: 영화 관람, 도서 구매, 취미 활동 비용
- 경조사/선물비: 친구 결혼식 축의금, 부모님 생신 선물 등
- 의료/건강비: 병원비, 약값 (비정기적인 지출)
- 기타: 택시비, 미용실 비용 등 예측하기 어려운 모든 지출
그래서, 이제 뭘 해야 할까?
분류가 끝났다면, 각 항목의 합계를 내보세요. 그리고 전체 지출에서 각 항목이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계산해보세요. 아마 깜짝 놀라실 겁니다. "내가 배달 음식에 이렇게 많이 썼다고?" 또는 "구독 서비스만 합쳐도 이 정도라고?" 하는 '깨달음의 순간'을 마주하게 될 겁니다.
이 과정은 스스로를 자책하기 위함이 절대 아닙니다. 내 돈의 흐름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, 다음 단계인 예산 세우기를 위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과정일 뿐입니다.
어떠신가요? 흩어져 있던 내 돈의 흔적들이 '고정'과 '변동'이라는 두 개의 큰 서랍에 정리된 기분이 드시나요? 이것만으로도 여러분은 이미 재테크의 절반을 성공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.
오늘 우리는 내 돈의 '과거'를 분석했습니다. 내일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, 우리의 '미래'를 계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바로 한정된 월급으로도 돈을 모을 수 있는 마법, 한 달 예산 짜기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.
'재태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점수, 1점이라도 손해 보지 마세요! 무료 조회 및 신용등급 올리는 현실 꿀팁 (9) | 2025.07.12 |
---|---|
가계부 어플 추천: 나에게 딱 맞는 자동 가계부 앱 선택 기준과 사용법 (7) | 2025.07.11 |
의지력 부족도 OK! 예산을 반드시 지키게 만드는 '자동 돈 관리 시스템' 구축법 (4개 통장) (6) | 2025.07.10 |
텅장 탈출을 위한 '돈 모이는' 한 달 예산 짜기 A to Z (feat. 현실적인 예산 분배 팁) (3) | 2025.07.09 |
월급만 모으면 정말 손해일까? 20대 사회초년생이 재테크를 시작해야 하는 현실 이유 3가지 (3) | 2025.07.07 |